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5)
    • 공지 및 기타 (29)
    • 종목분석-2차전지 (3)
    • 종목분석-스몰캡 (4)
    • 종목분석-소비 (18)
      • 식품 (7)
      • 유통 (2)
      • 의류&화장품 (6)
      • 레저&관광 (2)
    • 종목분석-ESG (5)
    • 종목분석-IT&전자 (12)
      • 디스플레이 (3)
      • 반도체 (5)
      • 모바일 (4)
    • 종목분석-자동차 (4)
    • 종목분석-조선&기계 (8)
    • 종목분석 - 물류 (2)
    • 종목분석 - 게임&미디어 (3)
    • 종목분석 - 석유&화학 (4)
    • 종목분석 - 바이오&헬스케어 (8)
    • 종목분석 - 건설 (1)
    • 시장분석 (6)
    • 투자단상 (12)
    • 차트분석 (5)
홈태그방명록
  • 공지 및 기타 29
  • 종목분석-2차전지 3
  • 종목분석-스몰캡 4
  • 종목분석-소비 18
    • 식품 7
    • 유통 2
    • 의류&화장품 6
    • 레저&관광 2
  • 종목분석-ESG 5
  • 종목분석-IT&전자 12
    • 디스플레이 3
    • 반도체 5
    • 모바일 4
  • 종목분석-자동차 4
  • 종목분석-조선&기계 8
  • 종목분석 - 물류 2
  • 종목분석 - 게임&미디어 3
  • 종목분석 - 석유&화학 4
  • 종목분석 - 바이오&헬스케어 8
  • 종목분석 - 건설 1
  • 시장분석 6
  • 투자단상 12
  • 차트분석 5

검색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시장분석

  • 시장분석 - 증권사 직원의 눈으로 본 하이브-민희진 사태

    2024.04.29 by 자본노동자

  • 시장분석 - 엔비디아 하나로 지수를 올리기는 힘들지도? (부정편)

    2023.08.28 by 자본노동자

  • 시장분석 - 지방 백화점의 기억, GTX는 블랙홀이 될겁니다

    2023.06.18 by 자본노동자

  • 시장분석 - 흥국생명 사태 초간단 설명

    2022.11.11 by 자본노동자

  • 시장분석 - 환율, 금리, 주가 매크로 진단

    2022.09.25 by 자본노동자

  • 시장분석 - 장기투자는 늘 성공할까? 국장 vs 각국지수 30년 비교

    2022.08.30 by 자본노동자

시장분석 - 증권사 직원의 눈으로 본 하이브-민희진 사태

결론 : 이건 경영권 분쟁이 아닌 자존심 싸움이다.​안녕하세요, 자본노동자입니다.​최근 시장에서 가장 핫했던 이슈는 누가 뭐라고 해도 하이브와 민희진 대표 사이의 갈등이었습니다. 저는 이 내용을 정말 여러번 읽어본 끝에야 겨우 결론을 내릴 수있었습니다. 이건 증권시장에서 흔히 벌어지는 경영권 다툼이 아닙니다. 아티스트의 자존심 싸움입니다. 갈등의 당사자인 방시혁 의장과 민희진 대표. 최소한 민희진 대표는 지금 기업의 경영자가 아니라, 뉴진스라는 걸작을 빚어낸 아티스트의 정체성으로 이 사태를 대하는 것으로 읽힙니다. 처음엔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대체 지분 20%를 가지고 어떻게 하이브랑 다툼을 벌이는지, 혹은 계약상의 내용이 어떻길래 이 시점에서 갈등을 표면화 하는지. 흔히 수면 아래에서 벌어질..

시장분석 2024. 4. 29. 01:57

시장분석 - 엔비디아 하나로 지수를 올리기는 힘들지도? (부정편)

1. NVDA에 거는 작은 딴지 ​ 안녕하세요 자본노동자입니다. ​ 이번 시장분석은 NVDA의 주가상승과 미국지수 흐름에 대한 시나리오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 최근 시장을 리딩하고 있는 주도주는 누가 뭐라고 해도 NVDA입니다. 생성형 AI로부터 시작된 반도체, 데이터 센터 산업 전반의 호조가 결국은 NVDA로 시작해서 NVDA로 끝나고 있습니다. ​ 보통 이렇게 산업의 혁신이 일어나고 주도주가 좋은 실적을 보여주면 당연히 지수도 탄력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삼성전자 실적이 좋아지면 당연히 국내지수 상승도 기대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 그런데 이 당연해 보이는 사실에 한가지 딴지를 걸어볼까 합니다. 과연 삼성전자가 국내지수를 견인하듯 NVDA가 미국지수를 견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죠. ​ 시장..

시장분석 2023. 8. 28. 00:25

시장분석 - 지방 백화점의 기억, GTX는 블랙홀이 될겁니다

안녕하세요 자본노동자입니다. ​ 오늘 주제는 지방 백화점 몰락의 기억과 GTX 블랙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조금 특이하게 주식과 부동산이 같이 얽힌 이야기가 되겠네요. ​ '광주신세계', '대구백화점', '한화갤러리아'. 이 기업들은 서울이 아닌 지방을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백화점 사업자입니다. ​ 지금은 모두 시총 5,000억원 미만에 지분이나 합병처럼 특별한 일 없으면 쳐다도 안 보는 소외주 신세지만, 이런 이들에게도 영광의 시대는 있었습니다. ​ 1980년대 이후, 경제발전의 성과가 중산층으로 확대되고 다양한 소비욕구가 발현되던 시기. 당시 대구, 부산, 광주 같은 지방 광역시에는 그 지역을 대표하는 백화점들이 호황을 누렸습니다. 단적으로, 지금 대구백화점은 비록 몇년째 문을 닫고 휴업중인 매물..

시장분석 2023. 6. 18. 15:49

시장분석 - 흥국생명 사태 초간단 설명

어려운 말 다 버리고 간단하게 봅시다. 뭐 자본비율이니 법인이니 신종자본이니 하는 말들을 싹 걷어내고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1. 여기 [한국상가]에서 장사를 하는 [흥국씨]가 있습니다. [흥국씨]는 사업자금으로 5년 전 [대한은행]에서 1억을 빌렸네요. 조건은 만기 30년에 이자 4%입니다. ​ 2. 그런데 이 대출에는 특약이 하나 붙어있습니다. 콜옵션이라는건데요, 이거는 쉽게 말해 조기상환권입니다. 원래 30년 대출을 중간에 갚으려면 상환수수료를 내야 하는데, 이 콜옵션 덕분에 [흥국씨] 5년차에 상환수수료 없이 대출을 갚을 수 있습니다. ​ 3. 당연히 이런 권리가 공짜일리는 없겠죠. 은행이 어떤 곳인데요? [흥국씨]는 5년차에 수수료 없이 대출을 다 상환할 수 있지만, 대신 5년차에 상환 안 하면 ..

시장분석 2022. 11. 11. 23:51

시장분석 - 환율, 금리, 주가 매크로 진단

1. 질문 : 우리 위치는 어디일까? 저금리 시대가 저물고 환율이 급등함에 따라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상승장에 영끌 빚투로 주식을 시작한 분들의 고통은 막심하다. ​ 개별종목이 흔들리는 수준이 아니라 시장 자체가 물에 잠기는 형국이라 방향성을 찾기도 어렵다. ​ 방송과 유튜브에서는 왠지 있어보이는 사람들이 어려운 말로 환율, 금리, 주가를 얘기하고 공포심은 커져간다. ​ 그러나 파도가 높고 바람이 거칠수록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혹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짚어볼 수 있어야 한다. ​ 막연한 두려움이 지배하는 요즘, 환율, 금리, 주가의 상대적 흐름을 눈으로 확인하고 투자의 바다속에서 우리 위치를 매크로 분석으로 찾아보자. 2. 환율 : 원화는 잘 버티는 중이다 ​ 환율이 1,400원을 ..

시장분석 2022. 9. 25. 02:47

시장분석 - 장기투자는 늘 성공할까? 국장 vs 각국지수 30년 비교

1. 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한다? 하지 않는다! 시장이 어렵고 주가가 흔들릴수록 우리는 의지할 말들을 찾는다. 그때 가장 흔하게 회자되는 얘기들이 '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한다', '장기투자는 성공한다' 류의 격언들이다. 그런데 실제로 30년 이상 시장에 장기투자한 사람들은 과연 모두 부자가 되고 본전을 되찾았을까? 아래 차트들은 각국의 대표지수들을 1990년대부터 조회한 블룸버그 데이터다. 결론부터 말하면 '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한다'는 명제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시장에서는 대체로 작동하지만 아시아 신흥국, 특히 국장에서는 유효하지 않다. 2. 한국 : 코스닥은 25년 전에 무려 2500이었다 코스피는 2000년대 내내 박스피 소리를 들으면서 횡보하다가 20년도 유동성 장세를 맞아 피크를 찍고 다시 5년 전..

시장분석 2022. 8. 30. 23:4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