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시장분석 - 환율, 금리, 주가 매크로 진단

시장분석

by 자본노동자 2022. 9. 25. 02:47

본문

1. 질문 : 우리 위치는 어디일까?

 

저금리 시대가 저물고 환율이 급등함에 따라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상승장에 영끌 빚투로 주식을 시작한 분들의 고통은 막심하다.

개별종목이 흔들리는 수준이 아니라 시장 자체가 물에 잠기는 형국이라 방향성을 찾기도 어렵다.

방송과 유튜브에서는 왠지 있어보이는 사람들이 어려운 말로 환율, 금리, 주가를 얘기하고 공포심은 커져간다.

그러나 파도가 높고 바람이 거칠수록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혹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짚어볼 수 있어야 한다.

막연한 두려움이 지배하는 요즘, 환율, 금리, 주가의 상대적 흐름을 눈으로 확인하고 투자의 바다속에서 우리 위치를 매크로 분석으로 찾아보자.

 

2. 환율 : 원화는 잘 버티는 중이다

주요 선진국 통화 USD 환율 추세(최근 1년)

 

환율이 1,400원을 뚫은 이 시국에 이런 말을 하면 쉽게 납득하기 어렵겠지만, 원화는 안정적으로 킹달러 시대를 통과하는 중이다.

위의 차트는 원화, 달러 인덱스, 유로, 엔화의 최근 1년간 USD 환율 추세로, 엔화를 제외한 모든 통화가 15%~20% 수준으로 수렴하는걸 알 수 있다.

※ 달러 인덱스 : 유로(EUR), 일본 엔(JPY), 영국 파운드(GBP), 캐나다 달러(CAD), 스웨덴 크로나(SEK), 스위스 프랑(CHF). 이 여섯개 선진국 통화로 계산되는 달러의 상대적 가치 지수

결국, 원화 환율이 오른 것은 맞지만 냉정하게 보면 그 상승폭은 선진국 평균 수준이다.

참고로, 외환위기 당시에 선진국 통화의 USD 환율은 15%~20% 상승했고, 원화는 혼자서 2배 가까이 급등했었다.

 

3. 금리 : 아직까지는 높지 않다

주요국 기준금리 현황 (22.09.25)

 

주요국 기준금리 현황2 (22.09.25)

 

역시 영끌, 신용, 미수, 마통 빚투로 고통받는 분들한테는 와닿지 않는 얘기일 수 있지만 한국은 아직까지 기준금리가 높은 편도 아니다.

연준의 75bp 인상발표에 따라 상승 자체는 예상되지만, 한은이 50bp 내지 75bp 인상을 발표하더라도 2%~3% 수준에 머무르게 된다.

이는 최근 50bp 인상을 발표한 영국이나 노르웨이의 2.25%, 75bp 인상을 단행했던 캐나다의 3.25%보다 눈에 띄게 높은 수치는 아니다.

물론, 연준이 지속적인 금리인상을 예고한데 따라 상방이 열려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본같은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고 여기서 자유로운 나라는 없다.

 

4. 주가 : 국장이 제일 많이 빠졌다

 

주요 선진국 지수 추세(최근 1년)

국내투자자 입장에서는 탄식이 나오는 결과다. 환율은 남들만큼 올랐는데 주가는 누구보다 많이 빠졌다.

우선, 환율이 무려 30%나 오른 일본은 그나마 주가가 가장 적게 빠져서 -5% ~ -10% 수준을 유지했다. 일본주식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가가 환율 급등의 손실을 일부 상쇄해주는 모양새다.

한편, MSCI 선진국 지수와 유로스톡은 -15%에서 -20%를 오가며 하락장에서 중간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상승장에서는 나스닥만큼 오른 주가가 하락장에서는 나스닥보다 덜 빠졌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유럽주식 투자자들은 환율로는 평균 수준의 손실을 입었지만, 주식에서 좋을 때는 남들만큼 벌었고 위기 때는 남들보다 덜 잃으면서 자산을 보호하는 중이다.

그럼 이 모든 난리의 진앙지 미국은 어떨까? 나스닥 지수는 -20% ~ -25%를 시현하며 큰 폭으로 하락했다. 그러나 미국주식 투자자들은 이 주가 손실을 환율로 대부분 커버할 수 있었다.

예컨데, 1년 전 100만원을 미국주식에 투자한 사람의 현재 자산은 90만원 수준이다. 손실률 10%는 현재의 비우호적 환경과 높은 배당에 따른 상쇄를 생각하면 매우 양호한 결과로 판단한다.

※ 100만 X 75%(주가 -25%) X 120%(환율 +20%)

반면 우리의 문제아 국장은 모든 면에서 안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나마 환율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평균 수준으로 방어했지만, 주가 자체의 흐름이 제일 부진하다.

연초에 미국, 유럽 지수가 5% 이상 오를 때도 국장은 하락으로 시작했고, 지난 1년동안 꾸준히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중이다. 비슷하게 덜 오른 일본 닛케이 지수가 현재 -10% 정도의 하락으로 버티는데 반해, 코스피의 하락폭은 무려 -25%에 달한다.

오를 때는 남들보다 덜 오르고 내릴 때는 남들보다 더 빠진다는 말을 그대로 입증하는 결과다.

물론, 하락폭 자체는 나스닥도 25%로 만만치 않지만 미장은 상승장에서 최소 남들만큼은 올랐고, 킹달러로 환율 수익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직접비교가 불가능하다.

숫자로 정리하면 차이는 더 확연해진다. 만약, 당신이 1년 전 코스피에 100$를 투자한 외국인이라면 현재 자산가치는 60$ 수준이다.

※ 100$ X 75%(주가 -25%) X 80%(환율 -20%)

이렇게 보면 그동안 야속했던 외국인의 꾸준한 자금이탈도 이해가 가는 부분이 있다.

베트남 증시에 투자했다가 자산이 반토막 난 한국투자자가 주식 다 정리하고 시장을 떠날때, 과연 그 사람을 원망할 수 있을까?

 

5. 정리 : 파도는 더 높아진다

물론, 90%도 60%도 그 자체는 그냥 숫자에 불과하다. 누군가는 국장이 그만큼 빠졌으니 이제는 반등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누군가는 이 정도면 무조건 손절할 타이밍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 판단만큼은 누구도 대신해줄 수 없는 본인의 선택이다. 그러나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내년까지 이어지는 이상, 최소한 외부환경은 지금보다 더 나아질 것은 없어 보인다.

주식투자의 비용과 리스크는 지금보다 더 높아질 것이고, 시장의 기준을 충족하는 자산은 점점더 줄어들 것이다. 지금은 과연 내가 들고있는 주식은 그 기준을 충족하는지. 그렇다면 그 근거는 무엇이고 언제 무효해지는지를 천천히 점검할 때라고 판단한다.

그저 담백하게, 지난 1년간 미국주식 투자자가 최선의 성적표를, 국내주식 투자자가 최악의 성적표를 나눠가졌다는 사실만큼은 기억하자.

 

이 글은 100% 개인의 사견을 담고 있습니다. 미래 주가에 대한 어떠한 확정이나 보증도 담고 있지 않으며 종목 추천이 아닌 단순 분석/정리글입니다. 투자는 100% 본인 책임이며 본 블로그는 투자결과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