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5)
    • 공지 및 기타 (29)
    • 종목분석-2차전지 (3)
    • 종목분석-스몰캡 (4)
    • 종목분석-소비 (18)
      • 식품 (7)
      • 유통 (2)
      • 의류&화장품 (6)
      • 레저&관광 (2)
    • 종목분석-ESG (5)
    • 종목분석-IT&전자 (12)
      • 디스플레이 (3)
      • 반도체 (5)
      • 모바일 (4)
    • 종목분석-자동차 (4)
    • 종목분석-조선&기계 (8)
    • 종목분석 - 물류 (2)
    • 종목분석 - 게임&미디어 (3)
    • 종목분석 - 석유&화학 (4)
    • 종목분석 - 바이오&헬스케어 (8)
    • 종목분석 - 건설 (1)
    • 시장분석 (6)
    • 투자단상 (12)
    • 차트분석 (5)

검색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스몰캡-지누스 / 좋은 주식, 하지만 때가 아니다 / TP : 66,000 KRW/ 현재가 : 61,800 KRW

    2022.05.27 by 자본노동자

  • 의류-한세실업 / 벌써 쫄 필요가 있을까? / TP : 29,000 KRW/ 현재가 : 22,350 KRW

    2022.05.25 by 자본노동자

  • 2차전지-동화기업 / 성장주가 된 가치주 / 목표가 : 100,000 KRW / 현재가 : 84,100 KRW

    2022.05.25 by 자본노동자

  • 스몰캡 - 덴티움 / 잘 나가는 국산 임플란트 /목표가 : 90,000 KRW / 현재가 : 72,600 KRW

    2022.05.23 by 자본노동자

  • 2차전지 - 삼성SDI / 업종 내 가장 편안한 선택 / 목표가 : 700,000 KRW / 현재가 : 585,000 KRW

    2022.05.22 by 자본노동자

스몰캡-지누스 / 좋은 주식, 하지만 때가 아니다 / TP : 66,000 KRW/ 현재가 : 61,800 KRW

1. 현대백화점이 품은 아마존 매트리스, 대기업이니까 가능한 존버? 지누스는 아마존 매트리스로 유명한 가구 업체다. 업력은 오래됐지만 매출의 80% 이상이 온라인에서 발생하고 북미 시장의 비중이 90%를 넘는 등 상당히 트렌디한 영업형태를 갖추고 있다. 시총은 크지 않지만 어쨌든 분명한 자기 색채를 가지고 입지를 넓혀가던 중견기업으로, 견실한 경영과 언택트 수혜에 힘입어 21년도엔 매출 1.1조를 달성하기도 했다. 그런 지누스의 대주주가 최근 현대백화점으로 변경되었다. 롯데백화점이 한샘을 인수한 전례와 이미 건자재 기업인 현대 L&C를 보유하고 있음을 생각할 때, 업계 트렌드 및 계열사 시너지 차원에서 충분히 이해가 가는 선택이다. 그러나 다소 눈길을 끄는 것은 인수한 가격이다. 현대백화점은 지누스 지분..

종목분석-스몰캡 2022. 5. 27. 00:04

의류-한세실업 / 벌써 쫄 필요가 있을까? / TP : 29,000 KRW/ 현재가 : 22,350 KRW

1. 쏠쏠한 의류 OEM, ROE 15%의 알짜산업 한세실업은 글로벌 대형 고객사로부터 오더를 받아 의류를 생산하는 OEM 업체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류, 하청, OEM이라는 키워드에서 한세실업의 이미지를 '고객사의 갑질에 시달리면서 겨우 근근히 입에 풀칠하는 사양 기업' 정도로 오해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의류 OEM은 경기에 따라서는 상당히 돈이 되는 사업이다. 실제로 작년 한해 한세실업의 영업이익률은 6%, ROE는 15%를 상회했다. 이는 어지간한 제조업에 뒤지지 않는 수치이며, 2017~2020년 평균 영업이익률이 2.9%임을 감안할 때 리레이팅 수준의 레벨업이다. 그런데 언뜻 재미없어 보이는 의류 OEM에 왜 이런 상승이 일어난 것일까? 우선 의류 OEM은 실적과 주가가 상대적으로 정직..

종목분석-소비/의류&화장품 2022. 5. 25. 23:21

2차전지-동화기업 / 성장주가 된 가치주 / 목표가 : 100,000 KRW / 현재가 : 84,100 KRW

1. 탄탄한 본업의 힘. 성장주가 된 가치주. 동화기업은 합판, 마루, 목재 시장을 꽉 쥐고있는 국내 1위 기업이다. 물론 국내 1위 업체답게 실적은 견조하지만 업종을 보면 딱히 주목할만한 구석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 회사는 2021년 기준, 시장에서 PER 50.51을 책정받았다. 당장 그 해에 주식 1주당 벌어들인 수익의 50배가 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반면, Peer Group인 이건홀딩스는 14, SUN&L은 적자로 N/A를 책정받았을 뿐이다. 이렇듯 동화기업의 가치가 업종 내 다른 종목과 차별화되는 근거는 2차전지 전해질을 생산하는 자회사 동화일렉의 존재다. 본업의 견조함으로 주가의 하방을 지지하고 신사업의 높은 멀티플로 주가를 레벨업 시킨 셈이다. 말은 쉽지만 현실에선..

종목분석-2차전지 2022. 5. 25. 00:09

스몰캡 - 덴티움 / 잘 나가는 국산 임플란트 /목표가 : 90,000 KRW / 현재가 : 72,600 KRW

1. 중국에서 잘 나가는 국산 임플란트. 덴티움이라는 기업을 이해하는 키워드는 크게 두가지로 하나는 실적, 또 하나는 중국이다. 사실 임플란트 업종 자체의 밸류 흐름은 상당히 좋지 못하다. 해외에서는 글로벌 1위 업체 스트라우만의 주가가 급등락을 거쳤고, 국내 1위 업체 오스템임플란트는 임직원의 횡령으로 거래정지까지 당했다. 자연스럽게 섹터의 평균 밸류는 내려갔고 주가도 조정국면을 지나는 중이다. 그러나 그런 와중에도 성장하는 기업은 있다. 특히 덴티움이 매출 절반을 뽑아내는 중국은 임플란트 업체에게는 기회의 땅이다. '국민 소득 몇천 달러면 어떤 음식을 먹고, 몇 만 달러면 자동차를 사기 시작한다'는 말은 의료에서는 임플란트를 위해 존재하는 말이다. 과거 명동에서 중국인 관광객을 흔히 볼 수 있던 시절..

종목분석-스몰캡 2022. 5. 23. 22:48

2차전지 - 삼성SDI / 업종 내 가장 편안한 선택 / 목표가 : 700,000 KRW / 현재가 : 585,000 KRW

1. 2차전지 업종에서 가장 편안한 선택이 될 것. 어떤 지표를 가져오더라도 지금은 확연한 저평가 구간이다. 삼성SDI의 22년 평균 EPS 컨센은 23,000. 현재주가 605,000원에 적용하면 P/E는 26으로, 지난 5개년 평균 41.3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물론 증설이 곧 기업가치 상승으로 이어지는 2차전지 업종의 특성상 EV/EBITA같은 지표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하락과 악재가 넘쳐나는 시장은 지금 실적에 목말라 있다. 그동안 '성장주니까', '미래가치가 높으니까' 라는 명목으로 유예를 줬던 업종에도 이제 투자자들은 결과를 요구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어닝에 비해 밸류가 낮은 저평가 성장주는 특히 주목할만 하다. 셀 업체에서는 가시적인 악재나 매크로 리스크가 보이지 않으면서 현금..

종목분석-2차전지 2022. 5. 22. 22: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3 14 15 16
다음
TISTORY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