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5)
    • 공지 및 기타 (29)
    • 종목분석-2차전지 (3)
    • 종목분석-스몰캡 (4)
    • 종목분석-소비 (18)
      • 식품 (7)
      • 유통 (2)
      • 의류&화장품 (6)
      • 레저&관광 (2)
    • 종목분석-ESG (5)
    • 종목분석-IT&전자 (12)
      • 디스플레이 (3)
      • 반도체 (5)
      • 모바일 (4)
    • 종목분석-자동차 (4)
    • 종목분석-조선&기계 (8)
    • 종목분석 - 물류 (2)
    • 종목분석 - 게임&미디어 (3)
    • 종목분석 - 석유&화학 (4)
    • 종목분석 - 바이오&헬스케어 (8)
    • 종목분석 - 건설 (1)
    • 시장분석 (6)
    • 투자단상 (12)
    • 차트분석 (5)

검색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스몰캡 - 사람인에이치알 / 다들 자주 신세 질 회사 / TP : 35,200 KRW / 현재가 : 31,600 KRW

    2022.07.16 by 자본노동자

  • 유통 - 현대백화점 / 살아남는 자 2 / TP : 82,700 KRW / 현재가 : 67,100 KRW

    2022.07.11 by 자본노동자

  • 식품 - SPC삼립 / 비 오는 날에 밀짚모자를 산다 / TP : 90,000 KRW / 현재가 : 76,000 KRW

    2022.07.03 by 자본노동자

  • 기계 - LS ELECTRIC / 실력 있고 근본 있는 전력 인프라 기업 / TP : 67,500 KRW / 현재가 : 58,000 KRW

    2022.06.29 by 자본노동자

  • 반도체 - DB하이텍 / 그래, Peak Out이라고 치자 / TP : 74,000 KRW / 현재가 : 52,600 KRW

    2022.06.26 by 자본노동자

  • 모바일 - LG이노텍 / 주식시장에 남은 LG의 마지막 양심 / TP : 405,000 KRW / 현재가 : 342,000 KRW

    2022.06.23 by 자본노동자

  • 식품 - 하이트진로 / 세상이 돌아가는 한 술은 마신다 / TP : 39,000 KRW / 현재가 : 32,350 KRW

    2022.06.20 by 자본노동자

  • 유통 - BGF리테일 / 살아남는 자 / TP : 190,000 KRW / 현재가 : 174,500 KRW

    2022.06.17 by 자본노동자

스몰캡 - 사람인에이치알 / 다들 자주 신세 질 회사 / TP : 35,200 KRW / 현재가 : 31,600 KRW

1. 공채도 평생직장도 없는 시대 사람인 플랫폼으로 유명한 동사는 시총 약 3,650억원, 21년 매출 1,300억원에 영업이익 400억원을 시현한 스몰캡 기업이다. 얼어붙은 경기와 불안한 거시경제 변수들 속에서도 향후 동사의 사업전망에 주목하는 이유는, 취업시장이라는 시장 자체의 성격이 너무 유리한 쪽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벌써 몇 년째 언론에서는 'OO기업 공채폐지'의 소식이 연달아 들리고 있다. 그 자리를 대신한 것은 경력직 시장과 수시채용이다. 당연히 공채보다 구인공고를 더 자주, 수시로 올릴 수밖에 없다. 그럼 그 경력자들은 모두 어디서 올까? 대부분은 다른 기업에서 재직중인 현직자들이다. IT붐을 타고 퍼진 이직문화는 이제 일상적인 모습이 되었고, 이미 다른 산업, 직종으로도 보편화되었다..

종목분석-스몰캡 2022. 7. 16. 23:43

유통 - 현대백화점 / 살아남는 자 2 / TP : 82,700 KRW / 현재가 : 67,100 KRW

1. 그리 멀지 않은 백화점의 시간 유통 업종 내 Top-Pick이었던 BGF리테일이 수일 연속으로 190,000 KRW를 터치하면서 목표가를 달성했다고 판단, 동일 섹터 내에서 새로운 분석종목으로 현대백화점을 주목한다. 동사는 백화점업을 영위하는 유통기업으로 시총은 1조 5,000억원, 작년 매출 9조 1,200억원에 영업이익 2,640억원 수준이다. 그간 오프라인 유통의 전망은 그리 밝지 않았고, 마트나 편의점에 비해 온라인 서비스 연계가 제한적인 백화점 업종은 특히 부정적인 시각이 강했다. 면세점이 잠깐 출구로 떠오른 적도 있었지만 코로나 19로 인한 침체에 직면하며 현재까지 적자구간을 벗어나지 못하는 형국이다. 그러나 1분기 실적은 YoY 12% 성장을 시현했고 2분기 역시 컨센에 부합할 것으로 ..

종목분석-소비/유통 2022. 7. 11. 00:24

식품 - SPC삼립 / 비 오는 날에 밀짚모자를 산다 / TP : 90,000 KRW / 현재가 : 76,000 KRW

1. 꼭 인플레가 아니라도 좋다 동사는 대표적인 제과/제빵기업으로 시총은 6,000억원, 매출은 작년 기준 2조 9,650억원에 영업이익은 660억원 수준이다. 최근 식품섹터는 우-러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상승에 주가가 크게 출렁였다. 동사 역시 98,000원까지 급격한 상승을 겪었다가 다시 7만원 중반으로 하락한 후, 바닥에서 상승 가능성을 타진하는 중이다. 큰 외풍을 만나서 키는 듣지 않고 배가 어지럽게 흔들리는 형국인데, 보통 이런 주식은 쉽게 매매하지 않는 것이 투자에는 이롭다. 그러나 지난 달 이어진 코스피의 급락은 거의 모든 종목들의 주가를 크게 짓눌렀고, 동사의 주가도 덩달아 절대적인 저평가 구간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한다. 다시 매크로 환경을 살펴보면, 최근 러시아가 흑해 요충지 뱀섬에서 철수..

종목분석-소비/식품 2022. 7. 3. 23:37

기계 - LS ELECTRIC / 실력 있고 근본 있는 전력 인프라 기업 / TP : 67,500 KRW / 현재가 : 58,000 KRW

1. 성장산업의 소부장 LS는 규모가 비슷한 여타 그룹에 비해 상당히 생소한 이름이고, LS ELECTRIC은 그 안에서도 존재감이 큰 계열사는 아니다. 규모도 시총 1조 6,000억원에 매출은 작년 기준 2조 6,680억원, 영업이익 1,550억원으로, 상장 계열사 중에서는 하위권에 속한다. 그러나 동사는 생각보다 괜찮은 섹터를 잡고 있다. 흔히들 주식시장에서 전력이라고 하면 한전, 인프라, 배당, 저평가 같은 말들을 떠올리기 쉽지만 전력 인프라 자체는 신재생 에너지와 ESS를 끼고 있는 성장산업다. 실제로 동사의 매출비중을 보면 순수 전력부문은 49% 수준이고 과반 이상은 ESS, 자동화(스마트 팩토리), 해외사업, 자회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업의 구조적인 성장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는 여건인 ..

카테고리 없음 2022. 6. 29. 01:25

반도체 - DB하이텍 / 그래, Peak Out이라고 치자 / TP : 74,000 KRW / 현재가 : 52,600 KRW

1. 지금 없어서 못 산다 VS 내년에 Peak Out 동사는 8인치 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반도체 파운드리(생산) 기업으로서, 규모는 시총 2조 3,000억원에 작년 매출 1조 2,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 수준이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에 비하면 다소 귀여운 수준이지만, 나름대로 8인치라는 특색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 생산업체다. 과거 DB가 동부그룹이었던 시절, 그룹의 유동성 위기로 동부제철, 동부건설을 위시로한 제조계열사를 떠나보내면서도 지켜온 마지막 노른자 회사이기도 하다. 막상 동사가 당시 그룹 유동성 위기의 진앙지로 지적받았음을 생각하면 상당히 아이러니한 결과다. 정리하면 좋든 나쁘든 DB하이텍은 상당한 역사와 업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실적도 그간 견조하게 성장한 알짜 기업이다. 더불어,..

종목분석-IT&전자/반도체 2022. 6. 26. 22:25

모바일 - LG이노텍 / 주식시장에 남은 LG의 마지막 양심 / TP : 405,000 KRW / 현재가 : 342,000 KRW

1. 돈을 많이 벌고, 앞으로 더 많이 벌 기업 동사는 카메라 모듈, 기판, 전장 사업 등을 영위하는 시총 8조원의 대형주로, 실적은 작년 기준 매출액 15조원, 영업이익 1조 2,500억원을 달성했다. 비중은 광학솔루션(카메라 모듈) 사업부의 비중이 75% 이상으로 압도적이다. 특히 주 고객사로 애플을 잡고있는데, 작년 공급망 교란 때도 흔들리지 않고 고객사 내 점유율을 높여왔다. 이는 중국과 베트남 봉쇄로 일본 경쟁사가 납기에 곤란을 겪은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물론 미국의 경기침체 논란은 부담스러운 이슈고, 고객사도 동사도 여기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그러나 다행인 것은 아이폰의 사양이 고급화 될 수록 ASP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북미 고객사에 대한 동사의 그립이 약하지는 않다는 반증으로 ..

종목분석-IT&전자/모바일 2022. 6. 23. 00:21

식품 - 하이트진로 / 세상이 돌아가는 한 술은 마신다 / TP : 39,000 KRW / 현재가 : 32,350 KRW

1. 힘든 시장에도 꺾이지 않은 시장점유율 동사는 맥주와 소주 등을 주로 판매하는 주류업체로 시총 2조 3,000억원, 작년 기준 매출 2조 2,000억원에 영업이익 1,740억원을 시현했다. 거리두기와 영업제한이 절정이던 작년은 동사에게 시련의 계절이었으나, 올해는 그 모든 조건이 기저효과로 전환된다. 여의도는 이미 저녁 10시부터 택시잡기가 전쟁이고, 꺼졌던 회식문화는 재택근무의 종료와 함께 다시 불이 붙었다. 특히 고무적인 것은 어려운 시황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M/S(시장점유율)가 탄탄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소주 시장은 지역별 업체들이 난립해있고, 맥주는 최근 몇 년간 편의점 수입맥주와 수제맥주의 비중이 크게 상승했다. 이런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맥주 30%, 소주 60%의 M/S를 ..

종목분석-소비/식품 2022. 6. 20. 00:17

유통 - BGF리테일 / 살아남는 자 / TP : 190,000 KRW / 현재가 : 174,500 KRW

1. 어차피 편의점에서 가격표 안 보잖아? BGF리테일은 CU 편의점 사업을 영위하는 유통기업으로, 시총 약 3조 2,000억원에 작년 매출은 6조 7,810억원, 영업이익은 1,990억원을 시현했다. 어려웠던 20년 매출이 약 6조 2,000억원이었음을 감안하면 실적은 완연한 회복세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은 인플레이션과 리오프닝이라는 외부 여건이 동사에게 우호적이라는 점이다. 모든 오프라인 유통의 공통사항이겠지만 편의점은 유동인구를 먹고 산다. 특히 학교, 광광지 등의 특수점포 활성화를 생각하면, 사람들이 모일수록 동사의 업황은 탄력을 받을 수 있다. 특수점포의 수는 10%에 불과하지만 매출액과 수익성 모두에서 일반점포를 상회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서, 편의점은 인플레 수혜업..

종목분석-소비/유통 2022. 6. 17. 00:1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
TISTORY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