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5)
    • 공지 및 기타 (29)
    • 종목분석-2차전지 (3)
    • 종목분석-스몰캡 (4)
    • 종목분석-소비 (18)
      • 식품 (7)
      • 유통 (2)
      • 의류&화장품 (6)
      • 레저&관광 (2)
    • 종목분석-ESG (5)
    • 종목분석-IT&전자 (12)
      • 디스플레이 (3)
      • 반도체 (5)
      • 모바일 (4)
    • 종목분석-자동차 (4)
    • 종목분석-조선&기계 (8)
    • 종목분석 - 물류 (2)
    • 종목분석 - 게임&미디어 (3)
    • 종목분석 - 석유&화학 (4)
    • 종목분석 - 바이오&헬스케어 (8)
    • 종목분석 - 건설 (1)
    • 시장분석 (6)
    • 투자단상 (12)
    • 차트분석 (5)
홈태그방명록
  • 공지 및 기타 29
  • 종목분석-2차전지 3
  • 종목분석-스몰캡 4
  • 종목분석-소비 18
    • 식품 7
    • 유통 2
    • 의류&화장품 6
    • 레저&관광 2
  • 종목분석-ESG 5
  • 종목분석-IT&전자 12
    • 디스플레이 3
    • 반도체 5
    • 모바일 4
  • 종목분석-자동차 4
  • 종목분석-조선&기계 8
  • 종목분석 - 물류 2
  • 종목분석 - 게임&미디어 3
  • 종목분석 - 석유&화학 4
  • 종목분석 - 바이오&헬스케어 8
  • 종목분석 - 건설 1
  • 시장분석 6
  • 투자단상 12
  • 차트분석 5

검색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바이오 - 루트로닉 / 미국에서 흥하는 레이저 의료기기

    2022.10.03 by 자본노동자

  • 시장분석 - 환율, 금리, 주가 매크로 진단

    2022.09.25 by 자본노동자

  • 화학 - 송원산업 / NCC 증산으로 나는 세계 2위 산화방지제

    2022.09.19 by 자본노동자

  • 화학 - 코오롱플라스틱 / POM 수출단가와 구조적 성장 / TP : 16,000 KRW / 현재가 : 11,700 KRW

    2022.09.10 by 자본노동자

  • 자동차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 강력한 가격전가력과 미국 테네시 증설 / TP : 44,000 KRW / 현재가 : 38,650 KRW

    2022.09.05 by 자본노동자

  • 목표가 상향 : 인선이엔티 / 9,700 KRW -> 11,000 KRW / TP : 11,000 KRW -> 12,400 KRW

    2022.09.02 by 자본노동자

  • 목표가 달성 : 에스엘 / 31,250 KRW -> 38,450 KRW / TP : 38,000 KRW

    2022.08.31 by 자본노동자

  • 시장분석 - 장기투자는 늘 성공할까? 국장 vs 각국지수 30년 비교

    2022.08.30 by 자본노동자

바이오 - 루트로닉 / 미국에서 흥하는 레이저 의료기기

1. 종목개요 종목명 : 루트로닉 현재가 : 15,950 KRW 목표가 : 24,000 KRW 섹터 : 바이오, 의료기기 21년도 매출 : 2,427억원 21년도 영업이익 : 505억원 시가총액 : 4,204억원 밸류 : PER 10.87, PBR 2.95 ​ 2. 수출 비중 80%, 미국비중 30% ​ 동사는 레이저 의료기기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스몰캡 업체로, 규모는 작지만 미국시장에서 가파르게 실적을 확대중인 기업이다. ​ 실제로 동사의 작년 실적에서 내수는 17%에 불과한 반면 미국향 매출은 30%를 초과했다. 이는 1) 세계 미용 의료기기 1등 시장인 미국에서 통할만큼 동사의 기술력과 영엽기반이 갖춰졌다는 뜻이며, 2) 지금같은 킹달러 시대에 동사가 구조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 ..

종목분석 - 바이오&헬스케어 2022. 10. 3. 03:36

시장분석 - 환율, 금리, 주가 매크로 진단

1. 질문 : 우리 위치는 어디일까? 저금리 시대가 저물고 환율이 급등함에 따라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상승장에 영끌 빚투로 주식을 시작한 분들의 고통은 막심하다. ​ 개별종목이 흔들리는 수준이 아니라 시장 자체가 물에 잠기는 형국이라 방향성을 찾기도 어렵다. ​ 방송과 유튜브에서는 왠지 있어보이는 사람들이 어려운 말로 환율, 금리, 주가를 얘기하고 공포심은 커져간다. ​ 그러나 파도가 높고 바람이 거칠수록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혹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짚어볼 수 있어야 한다. ​ 막연한 두려움이 지배하는 요즘, 환율, 금리, 주가의 상대적 흐름을 눈으로 확인하고 투자의 바다속에서 우리 위치를 매크로 분석으로 찾아보자. 2. 환율 : 원화는 잘 버티는 중이다 ​ 환율이 1,400원을 ..

시장분석 2022. 9. 25. 02:47

화학 - 송원산업 / NCC 증산으로 나는 세계 2위 산화방지제

1. 종목개요 : 업력 50년의 세계 2위 산화방지제 기업 종목명 : 송원산업 섹터 : 화학, 정밀화학 21년도 매출 : 9,980억원 21년도 영업이익 : 1,060억원 시가총액 : 4,536억원 밸류 : PER 3.51, PBR 0.71 2. 업력 50년의 세계 2위 산화방지제 기업 동사는 시총 4,500억원 수준의 생소하고 올드한 기업지만 한국, 인도, 북미, 유럽, 중동에 걸쳐서 사업장을 운영중인 업력 50년의 정밀화학 전문업체다. 특히 주요제품인 산화방지제의 경우 독일의 BASF에 이어서 22% 점유율로 글로벌 2위를 유지중이다. 산화방지제는 합성수지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첨가물로서 동사 매출의 약 72%를 차지한다. 동사의 사업성 자체는 심플하다. 전방 원재료가 싸질수록 좋고 고객사의 수요가 늘..

종목분석 - 석유&화학 2022. 9. 19. 00:50

화학 - 코오롱플라스틱 / POM 수출단가와 구조적 성장 / TP : 16,000 KRW / 현재가 : 11,700 KRW

1. 유럽의 가스부족과 중국의 전력난 = POM 가격상승 ​ 동사는 POM, 컴파운드 등의 EP(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시총 4,500억 수준 코오롱그룹 계열사다. 작년 기준 매출은 4,050억원에 영업이익 240억원 수준으로, EP 시장의 수혜를 흡수하며 호실적을 기록했다. 매출비율은 POM(Polyoxymethylene)이 56.5%, 컴파운드가 43.5%인데, 컴파운드의 마진율 스프레드는 완성차 업체의 출시지연으로 소폭 감소 추세지만 POM 수출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중이다. 이는 유럽의 천연가스 부족과 중국의 전력난으로 경쟁업체들의 생산이 차질을 빚은 반면, 원재료인 메탄올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급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85%가 내수용인 컴파운드와는 달리 POM은 수출비중이 75%에 ..

종목분석 - 석유&화학 2022. 9. 10. 17:36

자동차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 강력한 가격전가력과 미국 테네시 증설 / TP : 44,000 KRW / 현재가 : 38,650 KRW

1. 원가부담을 앞지르는 ASP 상승과 2배로 늘어나는 미국 CAPA 동사는 자동차 타이어 사업을 영위하는 시총 4조 8,000억원 규모의 국내 1위 기업이다. 작년 기준 매출은 7조 1,410억원에 영업이익은 6,540억원을 시현했으며, 2분기 실적은 1,753억원(-6.3% YoY)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그간 동사의 영업환경은 무척 어려웠다. 물류비와 재료비는 크게 오르는데 반해 반도체 부족현상으로 인해 신차의 출시는 밀려있고, 그만큼 동사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치 역시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번 실적으로 동사는 강력한 가격전가력을 입증하면서 마진 축소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상당부분 떨쳐냈다. 타이어는 크게 자동차가 출시될 때 완성차 회사의 사양대로 제작되는 OE(Original Eq..

종목분석-자동차 2022. 9. 5. 02:09

목표가 상향 : 인선이엔티 / 9,700 KRW -> 11,000 KRW / TP : 11,000 KRW -> 12,400 KRW

8월 26일 9,700 KRW로 분석을 시작했던 인선이엔티가 오늘 11,000 KRW로 종가 마감했습니다. 이에 따라 목표가 11,000 KRW를 달성했으나,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판단. 12,400 KRW를 새로운 목표가로 책정합니다. 이는 기존에 PER 15배로 적용했던 밸류를 18~21년도 평균인 PER 16.8배로 상향한 결과입니다. 폐배터리 섹터가 시장의 주목을 받는 가운데 동사 역시 무난한 주가 회복을 보여줬습니다.지난번 수도권 폭우 사태에 이어서 강력한 태풍 '힌남노'가 북상중인 것 역시 이목을 끌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물론 이번에도 지난번처럼 장대음봉으로 마무리할지도 모르지만, 그게 동사의 기업가치를 낮출 이유는 되지 않습니다. 일주일만에 목표가를 달성했다는 점, 다소 보수적인 업사이..

공지 및 기타 2022. 9. 2. 00:15

목표가 달성 : 에스엘 / 31,250 KRW -> 38,450 KRW / TP : 38,000 KRW

6월 2일 31,250 KRW로 분석을 시작했던 에스엘이 오늘 38,450 KRW로 종가 마감했습니다. 이에 따라 목표가 38,000 KRW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연준의 양적긴축과 우-러전쟁이라는 매크로 변수 속에서도 뚜벅뚜벅 가야할 길을 걸어온 종목입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미성년자 노동혐의 등 각종 악재들을 뚫고 3개월이 채 안 되는 기간에 목표가를 터치한 것은 기대 이상의 결과입니다. 목표가 초과 달성에 따라 에스엘은 기대를 충족한 것으로 판단, 자동차 혹은 기계 섹터에서 새로운 종목을 발굴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https://capitallabor.tistory.com/11 자동차 - 에스엘 / 한국에서만 놀기엔 너무 잘 났잖아? / TP : 38,000 KRW / 현재가 :..

공지 및 기타 2022. 8. 31. 22:57

시장분석 - 장기투자는 늘 성공할까? 국장 vs 각국지수 30년 비교

1. 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한다? 하지 않는다! 시장이 어렵고 주가가 흔들릴수록 우리는 의지할 말들을 찾는다. 그때 가장 흔하게 회자되는 얘기들이 '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한다', '장기투자는 성공한다' 류의 격언들이다. 그런데 실제로 30년 이상 시장에 장기투자한 사람들은 과연 모두 부자가 되고 본전을 되찾았을까? 아래 차트들은 각국의 대표지수들을 1990년대부터 조회한 블룸버그 데이터다. 결론부터 말하면 '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한다'는 명제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시장에서는 대체로 작동하지만 아시아 신흥국, 특히 국장에서는 유효하지 않다. 2. 한국 : 코스닥은 25년 전에 무려 2500이었다 코스피는 2000년대 내내 박스피 소리를 들으면서 횡보하다가 20년도 유동성 장세를 맞아 피크를 찍고 다시 5년 전..

시장분석 2022. 8. 30. 23:4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TISTORY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