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5)
    • 공지 및 기타 (29)
    • 종목분석-2차전지 (3)
    • 종목분석-스몰캡 (4)
    • 종목분석-소비 (18)
      • 식품 (7)
      • 유통 (2)
      • 의류&화장품 (6)
      • 레저&관광 (2)
    • 종목분석-ESG (5)
    • 종목분석-IT&전자 (12)
      • 디스플레이 (3)
      • 반도체 (5)
      • 모바일 (4)
    • 종목분석-자동차 (4)
    • 종목분석-조선&기계 (8)
    • 종목분석 - 물류 (2)
    • 종목분석 - 게임&미디어 (3)
    • 종목분석 - 석유&화학 (4)
    • 종목분석 - 바이오&헬스케어 (8)
    • 종목분석 - 건설 (1)
    • 시장분석 (6)
    • 투자단상 (12)
    • 차트분석 (5)

검색 레이어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의류 - 백산 / 글로벌 Top-tier 합성피혁 / TP : 14,000 KRW / 현재가 : 10,700 KRW

    2022.06.12 by 자본노동자

  • 모바일 - 삼성전기 / 돈 잘 버는 또 하나의 삼전 / TP : 217,500 KRW, 현재가 : 151,500 KRW

    2022.06.09 by 자본노동자

  • 반도체 - LX세미콘 / DB하이텍이 생각나는 밸류칩 / TP : 216,000 KRW / 현재가 : 128,700 KRW

    2022.06.07 by 자본노동자

  • 레저 - 골프존 / 야구장은 안 가도 골프는 쳐요 / TP : 187,000 KRW / 현재가 : 168,100 KRW

    2022.06.04 by 자본노동자

  • 자동차 - 에스엘 / 한국에서만 놀기엔 너무 잘 났잖아? / TP : 38,000 KRW / 현재가 : 31,250 KRW

    2022.06.02 by 자본노동자

  • 디스플레이-이녹스첨단소재 / 보릿고개 속의 문전옥답 / TP : 56,350 KRW / 현재가 : 44,500 KRW

    2022.05.31 by 자본노동자

  • 식품 - CJ프레시웨이 / 이 좋은 게 벌써 끝날 것 같아? / TP : 45,600 KRW / 현재가 : 39,200 KRW

    2022.05.29 by 자본노동자

  • ESG - 코엔텍 / 인플레 + ESG + 배당주 / TP : 10,500 KRW / 현재가 : 8,600 KRW

    2022.05.29 by 자본노동자

의류 - 백산 / 글로벌 Top-tier 합성피혁 / TP : 14,000 KRW / 현재가 : 10,700 KRW

1. 테슬라까지 바라보는 레퍼런스의 힘 ​ 동사는 합성피혁을 생산하는 시총 3,000억원의 스몰캡으로 작년 매출액은 3,700억원, 영업이익은 230억원을 시현했다. 그러나 합성피혁 분야에서는 글로벌 2위 수준의 기업으로, 주요 고객사로 나이키, 아디다스, 현대차 등을 두고 있다. 숫자만 보면 작은 기업이지만 생각보다 굵직한 레퍼런스를 쌓아놨다. 몇 차례 얘기했듯이 제조업에서 고객사 히스토리는 새로운 딜을 뚫을 수 있는 근거가 되곤 하는데, 이미 일부 언론에서는 동사의 테슬라 납품 가능성을 보도했다. 현재의 매출 비중을 보면 동사의 본업은 신발사업이다. 그러나 파르게 성장중인 차량용 내장재의 비중도 작년 말 20%를 넘어섰다. 기업이 주가를 높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이상적인 것은 탄탄한 본..

종목분석-소비/의류&화장품 2022. 6. 12. 01:41

모바일 - 삼성전기 / 돈 잘 버는 또 하나의 삼전 / TP : 217,500 KRW, 현재가 : 151,500 KRW

1. 가장 힘든 사업부도 평타는 친다 모바일, 반도체, 디스플레이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IT 전방산업이 수요감소로 어려움을 겪고있다. 당연히 부품업체도 힘든 시절을 지나는 중이지만, 그럼에도 미래가 기대되는 면면은 존재한다. 애플의 아이폰을 잡고있는 LG이노텍이 그랬고, OLED 전환의 수혜를 오롯이 누릴 수 있는 이녹스첨단소재가 그랬다. 삼성전기 역시 마찬가지다. ​ 동사의 작년 실적은 매출 9조 7,000억원(+5%, Y-Y), 영업이익 1조 5,000억원(1,7%, Y-Y)수준이다. 매출비중은 컴포넌트 47%, 기판 31%, 모듈 21%로, 컴포넌트는 대부분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매출이다. 역시 독자적으로 시장을 돌파해낼만한 묘수는 찾기 힘든 매출구성이지만, 막상 숫자를 보면 실적은 견조하고..

종목분석-IT&전자/모바일 2022. 6. 9. 00:05

반도체 - LX세미콘 / DB하이텍이 생각나는 밸류칩 / TP : 216,000 KRW / 현재가 : 128,700 KRW

1. 나름 국내 반도체 1위 기업! LX그룹은 2021년 LG에서 분할하며 출범한 기업집단으로 LX하우시스, LX인터내셔널, LX판토스 등을 주요 계열사로 두고 있다. 상사, 물류, 건자재 등 대체로 올드한 LX의 포트폴리오 가운데 LX세미콘은 단연 눈에 띄는 기업이다. 동사는 세미콘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반도체 사업을 영위하며 개중에 순수 반도체 설계회사로 분류된다. 반도체는 회로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와 실제 제조공정을 담당하는 파운드리로 크게 나뉘고, LX세미콘은 그중 국내 팹리스 1위 기업이다. 우리한테 익숙한 TSMC, DB하이텍 등이 파운드리에 속한다. 인지도나 체급에서는 비교가 안 되지만, 반도체라는 국가대표 산업 내에서 확고한 국내 1위 영역을 갖춘 회사라는 점은 눈길이 간다. 과거 ..

종목분석-IT&전자/반도체 2022. 6. 7. 01:54

레저 - 골프존 / 야구장은 안 가도 골프는 쳐요 / TP : 187,000 KRW / 현재가 : 168,100 KRW

1. 나이 든 사람들 전유물이 아닙니다 '골프는 비싼 중년의 취미' 라는 인식이 그동안 존재했지만, 최근 스크린 골프장에서는 의외로 젊은 얼굴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청년층의 소득 양극화, 거리두기의 수혜, 자기개발 열풍 등등 원인은 다양하게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일부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골프에 새로운 인구층이 급속도로 유입되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당분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이 기조 속에, 수혜를 실적으로 흡수하는 기업이 있다는 사실이다. 골프존은 골프 시뮬레이터 개발 및 제조 전문 기업으로, 스크린 골프와 유지보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동사의 규모는 시총 1조원, 작년 기준 매출 4,400억원에 영업이익은 1,000억원 수준이다. 양적 수치는 크지..

종목분석-소비/레저&관광 2022. 6. 4. 00:31

자동차 - 에스엘 / 한국에서만 놀기엔 너무 잘 났잖아? / TP : 38,000 KRW / 현재가 : 31,250 KRW

1. 자동차 부품회사, 다 어렵고 힘들지는 않아 에스엘은 자동차 램프, 전동화 등 자동차 부품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다. 언뜻 보면 엔진도 배터리도 차체도 아닌 비주요 부품 같지만 동사의 체력은 탄탄하다. 현대차를 주 고객사로 두는 한편, GM에 납품하면서 미국 시장에 진출했고, 21년 매출 3조원 중 약 7,000억원을 북미에서 발생시켰다. 이는 지역별 매출 중 국내 1조 6,000억원에 이은 두번째로 높은 수치다. 특히, 동사의 아이템 중 LED 램프는 ASP가 높고 EV 전환과 방향성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전망이 좋다. 전방사업의 전환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셈인데, LED 램프의 고에너지 효율과 미래적 디자인, 친환경적 이미지는 EV의 사업성과 잘 일치하기 때문이다. 동사의 핵심은 결국 미국과 한..

종목분석-자동차 2022. 6. 2. 08:20

디스플레이-이녹스첨단소재 / 보릿고개 속의 문전옥답 / TP : 56,350 KRW / 현재가 : 44,500 KRW

1.결국 접은 LCD 사업...디스플레이의 미래는 이제 OLED 최근 삼성디스플레이가 30년만에 LCD 패널 사업을 철수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LGD(LG 디스플레이) 역시 LCD 사업부의 부진이 뼈 아프다. 중국의 저가 공세에 세계 1위 점유율은 이미 넘어갔고, 시장의 대세는 결국 다음 스텝인 OLED를 향하고 있다. 실제로, 어려운 시황 속에서도 LGD의 OLED 매출 비중은 17년 7%에서 21년 43%로 급성장했다. 디스플레이 산업의 LCD와 OLED 포지션은, 자동차 산업의 내연기관과 전기차 포지션과 유사하다. 저무는 기성사업과 떠오르는 신사업, 효율성이 낮은 저가품과 성능이 좋은 고가품. 누가 보더라도 미래는 후자에 있을 수밖에 없고, 당사자인 디스플레이/패널 업체들은 이를 누구보다 잘 알고..

종목분석-IT&전자/디스플레이 2022. 5. 31. 00:59

식품 - CJ프레시웨이 / 이 좋은 게 벌써 끝날 것 같아? / TP : 45,600 KRW / 현재가 : 39,200 KRW

1. 식자재유통과 단체급식, 업종 자체가 리오프닝 레버리지 CJ프레시웨이는 CJ제일제당, CJ씨푸드와 함께 그룹 내 대표적인 식품기업이다. 코로나 위기로 인해 식자재유통과 단체급식 시장이 흔들리면서 동사의 2020년 실적은 영업적자를 기록했으나, 2021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이번 1분기 실적역시 매출액 5643억원(3.3%, Y-Y), 영업이익 106억원(237%, Y-Y)을 달성해 컨센을 소폭 상회했다. 흐름을 보면 지루했던 바닥 구간을 딛고 완연한 회복구간으로 들어선 모습이다. 이는 거리두기 완화로 인한 단체급식 시장의 활성화, 급격하게 오른 원재료 가격의 판가 반영 등이 복합적으로 만들어낸 결과로 파악된다.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마진률 개선을 위해 애써온 성과가 빛을 발하는 국면이다. 특히, 감..

종목분석-소비/식품 2022. 5. 29. 23:14

ESG - 코엔텍 / 인플레 + ESG + 배당주 / TP : 10,500 KRW / 현재가 : 8,600 KRW

1. 장벽은 높고 비용은 일정한 폐기물 시장 코엔텍은 울산지역 폐기물 사업을 과점하고 있는 영남의 대표적 환경기업으로, 작년기준 매출은 740억, 영업이익은 370억을 시현했다. 동사의 사업영역은 크게 세가지로 소각 / 스팀 / 매립으로 나뉘며 매출비중은 각각 45%, 35%, 20% 수준이다. 폐기물 시장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일감의 양은 대체로 늘어나는 반면 신규진입은 어렵다는 점인데, 이 이슈에는 늘 지역주민들의 반대와 지자체간의 알력이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Peer Group 중 하나인 호남의 와이엔텍은 지난 해 소각로 증설을 신청했다 반려당하고 올해 재신청을 진행하는 중이다. 이렇듯 신규진입도 CAPA 증설도 제한된 산업인만큼 폐기물 산업은 그 사업구조나 시장경쟁에서 상당한 ..

종목분석-ESG 2022. 5. 29. 02: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
TISTORY
자본노동자의 생존투자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